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간접 마케팅 기법 ,PPL 이란 무엇인가

by pista30 2022. 1. 13.

1. PPL 이란 무엇인가

PPL은 영어로 product placement이다. 직역하면 제품 배치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즉 어떤 위치에 갖다 놓는 것을 의미합니다. 영화나 드라마 넷플릭스 등 에 내 상품을 등장시켜 간접적으로 내 상품을 홍보하는 마케팅 기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자연스럽게 브랜드명이 보이거나, 이미지나 명칭을 화면에 노출시켜 홍보하게 됩니다. PPL은 기존의 광고가 가진 약점인 광고에 대한 거부감이 없습니다. 화면 속에 내 상품, 서비스를 배치하여 무의식 속에 상품 이미지를 심어 거부감을 주지 않으면서 자연스럽게 인지시키는 게 목적입니다. 방송사나 영화사는 해당 방송이나 프로그램에 PPL 광고를 넣어 제작비를 충당할 수 있습니다. 상업적인 마케팅을 봤을 땐 광고구나 라는 생각 때문에 거부감이 들 확률이 높기에 상품 구매까지 이어지는 게 어렵지만 영화나 드라마에 자연스럽게 나오면 소비자들은 거부감이 줄고 좋은 이미지를 갖게 됩니다.

 

 

2. PPL 장점과 단점 그리고 사례

PPL의 장점은 소비자들에게 자연스럽게 내 상품이나 서비스를 인지 시킬 수 있고, 무의식 중에 제품 이미지를 보여줌으로써 관심을 유도할 수 있습니다. 또한 방송이나 프로그램에 노출이 되기 때문에 친근함으로 다가가 판매를 증진시키게 됩니다. 영상 진행이나 흐름에 방해가 되지 않는 선에서 광고를 집행해야 합니다. 너무 대놓고 PPL을 한다거나 억지스러운 장면에 상품을 노출시킨다면 흐름이 끊겨 오히려 부정적인 이미지를 쌓을 수 있습니다.

PPL의 성공 사례들을 살펴보겠습니다. 대표적으로 드라마 미생입니다. 직장 생활을 주제로 우리가 겪고 있는 생활에서 자연스럽게 헛개수, A4용지, 커피 등 아주 잘 녹여낸 연출로 대부분의 시청자들은 광고인 줄 몰랐을 정도입니다.

너무나 자연스러웠기떄문에 오히려 시청자들로 하여금 호감을 샀고 대부분의 제품이 매출이 60% 이상 증가했다고 합니다. 미생이 대표적인 성공 사례라고 한다면 대표적인 실패사례도 있는데요. 용팔이라는 들라며에서 방을 구하는 장면에서 어울리지 않는 전개와 클로즈업을 하며 방 구하는 어플을 대놓고 노출시킨 적이 있습니다. PPL은 자연스럽게 이미지를 심어 넣어야 하는데 누가 봐도 광고다 라는 느낌을 받게 된 사례입니다. PPL 광고의 포인트는 과하지 않고 흐름에 맞게 잘 녹여내야 합니다. 과유불급이라는 말처럼 무리하게 진행한다면 오히려 안 하는 것만도 못한 경우가 많습니다.

 

3. 총평

 

개인적으로 PPL 마케팅 기법의 핵심은 시청하는 시청자 입장에서 시청에 방해가 되지 않을 정도로 자연스러워합니다.

드라마를 시청하는 사람들은 스토리 전개에 관심이 있습니다. PPL 광고로 인해 영상 흐름이 끊긴다면 오히려 역효과를 불러일으킬 수 있습니다.  PPL은 프로그램 구성이나 내용에 영향을 미치면 안 됩니다. 얼마 전까지만 해도 시청자들은 콘텐츠에 PPL이 등장하는 게 시청자 몰입을 저해하는 요소로 꼽았습니다. 이렇게 몰입을 저해한다는 부정적인 여론이 생가지 제작사와 광고사는 긍정적인 시너지를 낼 수 있는 PPL 전략을 시도하며 , 시청자의 공감을 얻기 위해 노력했습니다. 그중에서도 가장 효과가 좋았던 건 아이러니하게도 PPL을 숨기지 않고 오히려 콘텐츠의 소재로 사용하여 신선함과 광고 효과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었습니다. 간접 광고였던 PPL이 직접 광고 PPL로 변경되는 추세입니다. 당당해진 PPL의 대표적인 사례는 배우들이 의자에 앉아 떡볶이를 먹으면서 너무 맛있다, 떡볶이에 차돌이 들어있네와 같은 PPL 광고 대사를 합니다. 배우가 뜬금없이 이런 대사를 하니 시청자들은 당연히 PPL이네라고 생각할 무렵 "너네 누구한테 말하는 거니? "라는 대사와 함께 배우는 카메라를 봅니다. 최대한 자연스럽게 PPL을 숨기려 했던 과거 홍보 방법과 달리 신선하게 접근하여 오히려 웃음을 선사하는 PPL 대표적인 성공 사례였습니다. 앞으로 PPL은 어떤 모습일까요? 앞으로도 지금처럼 과감한 PPL은 하나의 트렌드로 자리 잡아 PPL를 하나의 콘텐츠로 승화시킬 가능성이 높습니다. 웃음으로 승화시켜 새롭게 시청자들한테 접근하는 방법인 것입니다.

댓글